공부 기록/자잘한것들

개요SSAFY 과정에서는 STS4로 백엔드 및 스프링 과정을 진행하는데, 집에서는 맥북으로 과제나 연습을 수행하고 있다. 근데 STS4를 종료하고 다시 실행하면 위와 같은 메시지와 함께 STS를 재설치하기 전까지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결론터미널에 다음을 입력하여 오류를 해결할 수 있었다.codesign --force --deep --sign - /Applications/SpringToolSuite4.app자료 및 요약다음 사이트를 참고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stack overflow| The application "STS" can't be opened 결론적으로 이클립스가 실행된 후 패키지 내용을 수정하면서 애플 빌드 시스템이 생성하는 서명이 무효화 되기 때문으로, STS에 서명을 ..
Q. 발제 시간에 간단히 들은 프록시의 역할은 브라우저와 웹서버 사이에 위치하여 브라우저가 보낸 request를 받아 똑같이 전달하는 것. 방화벽/추적/모니터링/브라우저 우회 등에 사용된다고 했는데, 라우터도 패킷을 forwarding 하는데 아무런 기능이 추가되지 않은 프록시와는 무슨 차이? 답변출처: https://superuser.com/questions/813416/difference-between-proxying-and-routing ⇒ 계층의 차이 - 프록시는 application 계층, 혹은 그 아래 계층인 반면, Router는 3계층
malloc에서 allocator 공부할때 implicit, explicit이 allocator의 분류와 free list에 분류에 각각 사용되어 헷갈려서 정리 allocator의 경우 explicit allocator는 이용자가 할당된 배열을 직접 “명시적으로” 반환해줘야 하는 것 C에서 malloc 사용 후 free 하는 것처럼 반면, JAVA, ML 등의 higher level language에서는 이용자가 배열을 반환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반환이 된다. 명령어 없이 “묵시적”으로 반환하기 때문에 Implicit allocator free로 반환하지 않고 할당기 스스로 사용하지 않는 할당 블록을 반환 → 따라서 모든 묵시적 할당기는 garbage collector 기능이 있고, 이를 이용하여 반환 과..
Q. CSAPP 11단원 네트워크 읽는 중 getaddrinfo 함수가 이전에 사용되던 gethostbyname이나 getservbyname에 대해 reentrant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고 함. Reentrant가 뭔데? 정의 reentrant a function whose effect, when called by two or more threads, is guaranteed to be as if the threads each executed the function one after another in an undefined order, even if the actual execution is interleaved 결론 둘 이상의 스레드에 의해 호출되었을 때, 호출 순서에 상관없이 (interleave..
재귀는 스스로의 함수 또는 매소드를 호출하는 방식이다. DFS는 그래프 형태 자료구조에서 모든 정점을 탐색할 수 있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깊이를 우선적으로 탐색하기 때문에 재귀 또는 스택을 이용한다. 백트래킹은 재귀를 통해 알고리즘을 푸는 기법 중 하나로 가지치기를 통해 탐색을 하다가 유망하지 않으면 추가 탐색을 하지 않고 다른 해를 찾는 방법이다. DFS와 백트래킹 모두 재귀를 이용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이해하면 되며, DFS는 기본적으로 모든 노드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고, 백트래킹은 불필요한 탐색이라고 판단되면 탐색을 중지하고 다른 노드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상황에 따라서 DFS와 백트래킹 기법을 혼용할 수 있다. 🔹 즉, DFS와 백트래킹은 유사한 부분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사용 목적이 다르지..
공통점: 주어진 문제를 작게 쪼개서 하위문제로 해결하고 연계적으로 큰 문제를 해결함 차이점 분할정복 분할된 하위 문제가 동일하게 중복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 사용 Top-Down만 가능 동적 프로그래밍 분할된 하위 문제가 동일하게 중복이 일어날 때 사용 Top Down, Bottom up 모두 가능
IsItGettingBetter?
'공부 기록/자잘한것들' 카테고리의 글 목록